ADT 캡스플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DT 캡스플레이는 ADT 캡스에서 주최하는 수비율 시상으로, KBO 리그 선수들의 수비 능력을 평가한다. ADT 캡스 수비율은 투수, 포수, 내야수/외야수 각 포지션별 자격 조건을 충족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수비 성공, 수비 실패, 도루 저지 등의 기록을 활용한 공식에 따라 산정된다. 201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포지션별 수상자와 대상 수상자를 선정하여 시상한다.
ADT 캡스 수비율은 각 포지션별 수비율을 산정하기 위해 출전 기준을 정해 선수들을 평가하며, 투수, 포수, 내야수/외야수 별 자격 조건과 공식, 공식에 포함된 기록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ADT 캡스 수비율 산정 체계
2. 1. ADT 캡스 수비율 자격 조건
ADT 캡스 수비율은 각 포지션별로 수비율을 산정하기 위해 출전 기준을 정해 선수들을 평가한다. 투수, 포수, 내야수/외야수 별 자격 조건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자격 조건 |
---|---|
투수 | 소속팀 경기수 이상 투구 이닝을 투구한 선수 |
포수 | 소속팀 경기의 50% 이상 경기 출전한 선수 |
내야수/외야수 | (소속팀 수비이닝*0.67) 이상 해당 포지션에 수비 출전한 선수 |
ADT 캡스 수비율이 동률일 경우, 다음 기준을 순서대로 적용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순위 | 조건 |
---|---|
1 | 해당 포지션 수비 성공수 |
2 | 해당 포지션 수비 이닝 |
3 | 해당 포지션 출장 경기수 |
4 | ADT 캡스플레이 선정 횟수 |
5 | 팀 순위 |
6 | 공동 수상 |
2. 2. ADT 캡스 수비율 공식
포지션 | 공식 |
---|---|
투수, 포수 | (수비 성공 + (도루 저지 × 2)) ÷ ((수비 성공 + 수비 실패) + (도루 저지 + 도루 허용) - (ADT 캡스플레이 선정 횟수)) × 100 |
내야수, 외야수 | (수비 성공) ÷ ((수비 성공 + 수비 실패) - (ADT 캡스플레이 선정 횟수)) × 100 |
예시) 수비 성공 123개, 실패 2개, 선정 횟수 1회인 경우 ADT 캡스 수비율 = 99.19%
2. 3. 공식에 포함된 기록 설명
- 자살: 타자의 타구나 다른 수비수의 송구를 직접 잡아 아웃시킨 횟수이다.
- 보살: 다른 수비수가 아웃 카운트를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 횟수이다.
- 견제사: 투수가 던진 견제구로 빠른 진루를 위해 베이스에서 떨어져 있던 주자를 아웃시킨 횟수이다.
- 실책: 해당 포지션에서 기록한 실책 횟수이다.
- 야수선택: 실책은 아니지만, 아웃시킬 수 있는 상황에서 야수가 판단을 잘못하여 주자를 진루시킨 횟수이다.
- 포일: 실책은 아니지만, 포수가 잡을 수 있는 투구를 놓쳐 주자를 진루시킨 횟수이다.
- 도루 저지율: 도루 저지 횟수를 도루 저지와 도루 허용 횟수를 합한 값으로 나눈 비율이다. 평균 도루 저지율보다 높으면 가산점을, 낮으면 감점을 받는다.
- 폭투: 투수의 투구 실수로 발생하며, 투수의 수비 실패 기록에서는 제외된다.
3. 역대 ADT 캡스플레이어
ADT 캡스플레이어는 매년 뛰어난 수비 능력을 보여준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2013년에 처음 시상식이 열렸고, 2014년과 2015년에는 골든글러브 시상식의 수비 특별상 부문으로 통합되어 진행되었다.
수상자는 수비율을 기반으로 포지션별 상위 10명을 선정한 후, 온라인 투표를 통해 최종 대상 수상자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선정되었다.
3. 1. 2013 ADT 캡스플레이어
2013년 11월 29일 서울 프리즘 타워에서 제1회 ADT캡스플레이어 2013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수비율에 따라 포지션별 탑10을 결정하고, 온라인 투표를 통해 대상 수상자를 선정했다. ADT캡스플레이어 2013 대상은 이종욱이 수상했다.포지션별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3. 2. 2014 ADT 캡스플레이어
2014년 12월 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센터 오디토리움에서 진행된 2014 골든글러브 시상식에서 수비 특별상 부문으로 제2회 ADT캡스플레이어 2014가 시행되었다. 수비율에 따라 포지션별 상위 10명이 선정되며, 온라인 투표를 통해 대상 수상자가 결정되었다.ADT캡스플레이어 2014 대상은 채태인이 수상했다. 포지션별 최고 선수는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선수 | 팀 | 수비율 |
---|---|---|---|
투수 | 우규민 | LG | 105.46% |
포수 | 이지영 | 삼성 | 95.27% |
1루수 | 채태인 | 삼성 | 100.90% |
2루수 | 정근우 | 한화 | 100.48% |
3루수 | 김민성 | 넥센 | 100.40% |
유격수 | 강정호 | 넥센 | 99.57% |
우익수 | 손아섭 | 롯데 | 103.78% |
좌익수 | 최형우 | 삼성 | 103.67% |
중견수 | 이대형 | KIA | 101.21% |
3. 3. 2015 ADT 캡스플레이어
2015년 12월 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센터 오디토리움에서 진행된 2015 골든글러브 시상식의 수비 특별상 부문으로 편입되어 시행되었다. 수비율에 따라 포지션별 상위 10명이 결정되며, 온라인 투표를 통해 대상 수상자가 결정되었다.ADT캡스플레이어 2015 대상은 오지환이 수상했다. 포지션별 최고 선수는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선수 | 팀 | 수비율 |
---|---|---|---|
투수 | 양현종 | KIA | 101.69% |
포수 | 이지영 | 삼성 | 97.56% |
1루수 | 박병호 | 넥센 | 99.83% |
2루수 | 정근우 | 한화 | 100.16% |
3루수 | 김민성 | 넥센 | 100.61% |
유격수 | 오지환 | LG | 100.00% |
우익수 | 유한준 | 넥센 | 102.45% |
좌익수 | 김종호 | NC | 102.69% |
중견수 | 박해민 | 삼성 | 103.26% |
3. 4. 2016 ADT 캡스플레이어
2016년 12월 5일에 시상식이 진행되었다.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